본문 바로가기
상식

리큐르와 리큐어의 차이 – 표기법과 언어적 배경

by cococooo 2025. 9. 7.

칵테일이나 술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리큐르(Liqueur)’와 ‘리큐어’라는 두 가지 표기를 접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두 단어는 같은 술을 가리키지만, 언어적 배경과 표기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왜 다르게 불리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리큐르(Liqueur)의 기원


리큐르(Liqueur)는 프랑스어에서 비롯된 단어입니다.

• 어원은 ‘liqueur’로, ‘녹이다, 액체로 만들다’라는 뜻의 liquefacere(라틴어)에서 파생되었습니다.
• 전통적으로 리큐르는 증류주에 설탕, 과일, 허브, 향신료, 크림 등을 첨가해 만든 달콤한 술을 의미합니다.
• 유럽에서는 디제스티프(digestif, 식후주)로 마시거나 칵테일 재료로 널리 쓰입니다.

따라서 영어권에서는 ‘리큐르’라는 원어 발음에 가까운 Liqueur라는 철자가 정착했습니다.



 

리큐어의 등장 – 일본어와 한국어 표기의 영향


한국에서 흔히 쓰이는 리큐어라는 표기는 사실 일본어 표기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 일본에서는 외래어를 가타카나로 표기하면서, 프랑스어 발음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リキュール(리큐루 → 리큐어)라는 음차로 굳어졌습니다.
• 한국 역시 한동안 일본식 표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 ‘리큐어’라는 발음과 철자가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즉, 리큐어는 일본식 음차 표기가 한국에 유입되며 굳어진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단어의 차이 정리


• 리큐르 (Liqueur) : 원어(프랑스어, 영어) 기반 표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정식 표현.
• 리큐어 : 일본식 음차가 한국에 들어와 사용된 표기. 국내에서는 여전히 익숙하게 쓰임.

둘 다 같은 술을 지칭하므로 의미상의 차이는 없지만, 학술적·국제적 문맥에서는 리큐르(Liqueur)가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리큐르와 리큐어는 같은 술을 의미하지만, 언어적 배경과 표기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와인, 위스키처럼 글로벌한 용어로 다룰 때는 리큐르(Liqueur)를 쓰는 것이 더 적절하고,
• 일상적인 대화나 일본식 표현에 익숙한 환경에서는 리큐어라는 단어도 여전히 흔히 사용됩니다.

술에 얽힌 이런 언어적 차이를 이해하면, 단순히 맛을 즐기는 것 이상으로 술의 역사와 문화적 맥락까지 함께 음미할 수 있습니다.


 

아니스 리큐르 – 세계의 향신주 비교

감초향 가득한 한 잔, 문화와 향신료가 녹아든 리큐르의 세계향긋하면서도 독특한 풍미로 사랑받는 아니스(anise) 리큐르. 이 향신주는 감초와 비슷한 단맛과 스파이시함이 어우러져 전 세계에서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