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이스라엘의 유대인 문화와 명절 – 욤 키푸르, 유월절, 하누카

by cococooo 2025. 9. 23.

이스라엘은 유대교의 전통과 문화가 깊이 뿌리내린 나라로, 유대인들의 삶은 종교적 절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욤 키푸르(Yom Kippur), 유월절(Pesach, Passover), 하누카(Hanukkah)는 대표적인 명절로,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신앙과 공동체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1. 욤 키푸르 – 속죄의 날


욤 키푸르는 유대력으로 티슈레이(Tishrei)월 10일에 해당하며, “속죄의 날”로 불립니다.

• 의미: 한 해 동안의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구하는 날로,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한 날 중 하나입니다.

• 풍습: 금식(음식·물 섭취 금지), 노동 금지, 기도와 회개에 집중합니다. 이 날 이스라엘 전역은 마치 멈춘 듯 조용해지며, 거리에는 차가 거의 다니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회당에서 하루를 보냅니다.

• 문화적 특징: 종교적 유대인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이스라엘인들 역시 이 날만큼은 금식이나 자전거 타기 같은 방식으로 의미를 공유합니다.


2. 유월절 – 자유와 해방의 기념


유월절은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명절입니다.

• 기간: 유대력 니산(Nisan)월 15일부터 7일(이스라엘 밖에서는 8일)간 이어집니다.

• 의미: 자유와 해방, 민족 정체성의 근원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 풍습: 발효된 빵(하메츠)을 먹지 않고 대신 무교병(마차, Matzah)을 먹습니다. 가정마다 ‘세데르(Seder)’라는 의식을 열어, 출애굽 이야기를 낭독하고 상징적인 음식(쓴 나물, 뼈, 달걀 등)을 차려놓습니다.

• 현대적 모습: 이스라엘에서는 유월절 동안 빵과 발효식품 판매가 제한되며, 가족과 함께하는 명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3. 하누카 – 빛의 축제


하누카는 유대력 키슬레브(Kislev)월 25일부터 8일간 이어지는 명절로, ‘빛의 축제’라고 불립니다.

• 역사적 배경: 기원전 2세기, 유대인들이 셀류코스 제국을 물리치고 예루살렘 성전을 되찾았을 때 기적처럼 1일 분의 기름이 8일 동안 꺼지지 않았다는 전설에 기초합니다.

• 풍습: 8일 동안 ‘하누키야(Hanukkiah, 촛대)’에 매일 한 개씩 불을 밝힙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감자전(Latkes)과 도넛(Sufganiyah) 같은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습니다.

• 문화적 의미: 가족 중심의 축제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에게 선물과 ‘드레이들(Dreidel, 회전팽이)’ 게임이 전해집니다. 현대에는 크리스마스 시즌과 겹치면서 국제적으로도 잘 알려진 명절이 되었습니다.



마무리

이스라엘의 명절들은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날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유대인들의 삶과 정체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회개와 속죄의 의미(욤 키푸르), 자유와 해방의 기념(유월절), 빛과 희망의 상징(하누카)은 모두 인류 보편의 가치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중동과 터키의 케밥은 어떻게 다를까? – 지역별 맛의 철학

케밥(Kebab)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구이 요리지만,그 기원과 발전 과정을 들여다보면 지역에 따라 다른 철학과 맛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중동과 터키는 케밥의 중심지라고 할 수

sparkwater.tistory.com

 

세계의 향신료 여행 – 대륙별 대표 향신료와 그 요리 문화

한 나라의 냄새는 그 나라의 향신료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강렬하고 이국적인 향, 미묘하게 풍미를 끌어올리는 조화, 때론 의외의 감칠맛까지… 향신료는 음식의 맛을 넘어, 그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