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에서 우리는 언제나 하얀 봉투를 손에 쥐고 조문을 갑니다. 누군가는 “왜 꼭 흰색이어야 할까?“라는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색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오랜 세월 동안 한국의 의례와 감정 표현을 상징해 왔습니다. 오늘은 부의금 봉투가 흰색인 이유를 전통 색채 문화의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흰색은 ‘끝’과 ‘순환’을 의미하는 색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색에 철학적 의미를 담았습니다. 특히 오방색(청, 적, 황, 백, 흑) 중 ‘백(白)’은 죽음, 이별, 순리의 완성을 뜻했습니다. 모든 색이 사라진 상태, 즉 무(無)의 색으로 여겨져 인생의 끝과 자연의 순환을 상징했습니다.
이 때문에 상복은 흰색으로 입었고, 부의금 봉투도 같은 맥락에서 하얀색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색의 선택이 아니라, 고인의 삶을 정결히 보내드린다는 마음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흰 봉투는 ‘청결함’과 ‘경건함’을 전합니다
흰색은 때 묻지 않은 마음, 진심을 상징하는 색입니다. 검거나 화려한 색을 피하는 이유는 조문이 감정의 과시가 아니라 경건한 애도의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하얀 봉투에 담긴 부의금은 액수보다도 ‘조용한 진심’을 보여주는 매개체로, 말보다 깊은 예의의 표현으로 여겨졌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봉투가 아닌 흰 천이나 종이에 돈을 감싸 전달하기도 했는데, 이는 ‘깨끗한 손으로 고인을 배웅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서양의 검은색과 대비되는 한국의 흰색
서양에서는 장례식의 대표색이 검은색이지만, 한국과 동양 문화에서는 흰색이 곧 애도의 색이었습니다. 흰색은 ‘죽음의 색’이라기보다, 삶의 마무리를 가장 정결하게 표현하는 색으로 여겨졌습니다. 즉, 검정이 ‘슬픔의 색’이라면, 흰색은 ‘순리의 색’이었던 셈입니다.
이러한 색의 차이는 문화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서양은 죽음을 ‘끝’으로 보지만 동양은 ‘다음 생으로의 이행’으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흰색은 순수한 이별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현대에도 이어지는 ‘하얀 예의’의 전통
오늘날에는 부의금 봉투 디자인이 다양해지고, 검은 리본이나 은색 띠가 들어간 형태도 있지만, 기본 색은 여전히 흰색이 원칙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는 전통과 예의의 연속성을 지키기 위함이며, ‘고인의 마지막 길을 깨끗하게 보내드린다’는 의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하얀 봉투는 단순한 포장이 아닙니다. 고인을 향한 존중과 남은 이들을 위한 위로의 마음이 담긴 하나의 의례적 상징입니다.
결론 – 흰 봉투에 담긴 마음의 색
부의금 봉투가 흰색인 이유는 단순한 관습이 아닙니다. 그것은 죽음을 두려움이 아닌 자연의 순환으로 받아들이는 동양의 철학, 그리고 고인을 향한 마지막 예의의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하얀 봉투를 건넬 때 우리는 돈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정갈한 마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한국의 색채 문화가 남긴 깊은 예의의 의미입니다.
49제 음식의 의미 – 고인을 위한 공양의 상징
49제는 단순한 장례 의식이 아니라, 고인의 영혼이 다음 세상으로 편안히 나아가도록 돕는 불교의 중요한 의식입니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공양(供養)’이 있습니다. 공양은 음식을 올린다는
sparkwater.tistory.com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의금 봉투 문구 총정리 – 부의, 조의, 근조, 애도 중 어떤 게 맞을까? (0) | 2025.10.21 |
|---|---|
| 부의금과 조의금의 차이 – 같은 뜻일까, 다른 뉘앙스일까? (0) | 2025.10.21 |
| ‘부의(賻儀)’의 한자 뜻 풀이 – 조문 문화에 담긴 예의의 언어학 (0) | 2025.10.21 |
| 지장경이란 무엇인가 –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설한 중생 구제의 경전 (0) | 2025.10.20 |
| 불교 경전 중 왜 지장경이 가장 대중적인가? (0) | 2025.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