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바게트의 역사 – 길고 바삭한 빵에 담긴 프랑스의 시간

by cococooo 2025. 3. 31.

프랑스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바게트(Baguette).
그 단순한 모습 속에는 놀라운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바게트는 단순한 빵이 아니라, 프랑스인의 삶과 문화, 역사를 반영한 상징적인 존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게트가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변화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졌는지 그 여정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1. 바게트 이전의 프랑스 빵


바게트가 등장하기 전, 프랑스 사람들은 주로 ‘미쇼(Miche)’라는 크고 둥근 형태의 빵을 먹었습니다. 이 빵은 무겁고 오래 보관할 수 있어, 농민들이 며칠씩 나눠 먹기에 적합했지만, 굽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식감이 단단했습니다.



 

 

2. 19세기: 바게트의 기원 설들


전쟁, 기술, 생활 방식의 변화가 만들어낸 새로운 빵

① 나폴레옹의 군사 전략설

• 어떤 이들은 나폴레옹 시대의 병사들이 긴 빵을 휴대하기 편하도록 바게트 형태의 빵이 만들어졌다고 주장합니다.
• 이는 실제로 입증되진 않았지만, 바게트가 실용적인 목적에서 등장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② 오스트리아식 제빵법 도입

• 18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프랑스로 스팀 오븐(증기 오븐) 기술이 전해졌습니다.
• 이 기술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빵을 만드는 데 적합했고, 바게트의 탄생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③ 도시화와 바쁜 생활

• 산업화와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생활 속에서, 더 빠르고 간편하게 구울 수 있는 빵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 이 변화는 기존의 둥글고 무거운 빵보다 길고 얇은 바게트가 대중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20세기 초: 바게트의 대중화


법과 제도도 바게트를 탄생시켰다

1920년 프랑스 정부는 노동자의 과로 방지를 위해 빵집 직원의 새벽 4시 이전 출근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합니다.
그 결과, 전통 빵인 미쇼를 준비할 시간은 부족해졌고, 빠르게 굽고 공급할 수 있는 바게트가 주류로 부상합니다.

• 바게트는 굽는 시간이 짧고 가벼워서 당일 소비에 적합
• 하루에 여러 번 구워 신선하게 공급할 수 있음
•“하루 한 바게트”가 프랑스인의 생활 방식이 된 결정적 전환점



 

 

4. 20세기 후반: 프랑스인의 상징이 되다


일상 속에서 뿌리내린 문화
• 바게트는 프랑스인의 일상과 불가분한 관계를 맺으며 국민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매년 수천 개의 바게트가 소비되며, 프랑스인 1인당 연간 평균 바게트 소비량은 약 120~130개에 이릅니다.
• 파리에서는 매년 ‘바게트 그랑프리(Grand Prix de la Baguette de la Ville de Paris)’가 열려 최고의 바게트를 뽑는 대회가 개최됩니다.


5. 21세기: 유네스코 유산과 바게트의 미래


• 2022년, ‘프랑스 바게트 만들기 기술과 문화’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이는 단순히 빵을 만드는 기술이 아니라, 매일 아침 갓 구운 바게트를 사러 가는 프랑스인의 문화적 행동까지 보호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오늘날 바게트는 프랑스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으며, 지역적 특색과 창의성을 더한 새로운 바게트 스타일들도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 바삭한 껍질 안에 담긴 천 년의 이야기


길고 바삭한 이 빵 한 조각에는 전쟁, 기술, 제도, 문화가 모두 녹아 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는 매일 아침 동네 빵집에 줄 서는 사람들의 삶과 온기, 공동체의 감성도 담겨 있죠. 바게트를 한입 베어 물 때, 그 고소한 풍미와 함께 프랑스의 시간이 조용히 흘러들어오는 것을 느껴보세요.


 

프랑스 요리 용어 11가지 총정리

프랑스 요리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요리 용어들도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프랑스 요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와 그 뜻을 정리한 목록입니다.Mise en p

sparkwater.tistory.com

 

타르타르(Tartare): 생고기 또는 생선의 정수를 담은 프랑스 요리

타르타르(Tartare)는 신선한 생고기나 생선을 잘게 다진 후 다양한 양념과 함께 제공하는 요리로, 주로 프랑스 요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타르타르는 신선한 재료와 섬세한 맛을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