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카자흐스탄 내 고려인 문화유산과 한국과의 연결고리

by cococooo 2025. 4. 16.

유라시아 대륙 한가운데서 피어난 한국인의 뿌리


카자흐스탄을 여행하다 보면 의외의 한국어 간판, 또는 친숙한 한식 냄새에 놀라곤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이민자의 흔적이 아닙니다. 그곳에는 오랜 세월을 견디며 정체성을 지켜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고려인(고려사람, 고려조선족)입니다. 이 글에서는 카자흐스탄 내 고려인의 역사와 문화유산, 그리고 오늘날 한국과의 연결고리를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1. 고려인이란 누구인가?


‘고려인’은 186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 연해주 등지로 이주한 한인들의 후손을 뜻합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와 러시아혁명 등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1937년, 스탈린 정권의 강제이주 정책에 따라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습니다.

• 이주 당시 약 17만 명
• 열차로 수주일간 이송, 많은 이들이 병과 굶주림으로 사망
• 이후 농업, 교육, 언론, 문화 분야에서 현지 사회에 기여

→ 카자흐스탄은 지금도 약 10만 명 이상의 고려인이 거주하는 대표적 고려인 거주국입니다.


2. 카자흐스탄 내 고려인 문화유산



① 고려극장


193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창립된 고려극장은
1937년 이주 이후 알마티에 정착해, 지금까지도 한국어 연극과 문화 공연을 이어가는 유서 깊은 극장입니다.

• 매년 한국 문학 작품 공연
• 카자흐어 자막을 통해 현지 관객과 소통
• 한국 국립극장과의 교류도 지속

② 고려일보 (레닌기치 → 고려일보)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한국어 신문으로, 1938년부터 발행되며 고려인의 삶과 목소리를 지면에 담아왔습니다.
• 카자흐스탄 유일의 한국어 신문
• 현재는 고려어(한글)와 러시아어 병행 발행

③ 고려인 박물관 및 역사기념비


알마티, 키질오르다, 우슈토베 등지에는 고려인의 강제이주 역사와 공헌을 기리는 기념관, 기념비, 역사교육 공간이 있습니다.

• 박물관 내 유물: 고문서, 당시 열차 모형, 생활 도구 등
• 기념비는 이주 80주년(2017년)을 기념해 새롭게 조성됨


3. 현재 고려인의 정체성과 문화


4세대, 5세대로 이어지는 오늘날의 고려인은 러시아어와 카자흐어를 주로 사용하지만, 한국 음식, 명절, 가정 내 문화 등을 통해 여전히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김치, 잡채, 감자전, 냉면 등 한식 문화 보존
• 설날, 추석은 가정 단위로 기념
• 일부 가정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주말학교 운영

또한, 최근 한국 대중문화(K-POP, 드라마)와 한류 확산은 젊은 세대 고려인들이 다시 한국어와 문화에 흥미를 가지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4. 한국과의 연결고리

 

 

 

① 정부 차원의 교류

• 대한민국 정부는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장학사업, 민간 문화교류 등을 지속 중
• 카자흐스탄 내 한국문화원, 한글학교 운영
• 한국 방문 프로그램, 재외동포 대상 정책 지원

② 경제 및 사회 협력

• 고려인은 한국 기업의 현지 네트워크와 문화 가교 역할을 수행
• 통역, 인사관리, 문화 중재자로서 중요한 역할
• 양국 간 FTA·외교 관계 속에서 고려인의 입지는 더욱 확대

③ 정서적 유대


고려인의 존재는 단순한 이민을 넘어 한민족의 연대감, 디아스포라의 아픔과 회복을 상징합니다.
• 한국인 여행자가 현지 고려인을 만났을 때의 감동
• 고려인의 입장에서 “조국”은 때로 낯설지만 동시에 따뜻한 기억
• 양국 간 민간교류의 중심축 역할



마무리하며

카자흐스탄의 고려인은 지리적으로는 한국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져 있지만, 역사와 정서로 깊이 연결된 민족의 또 다른 얼굴입니다. 그들이 만들어낸 문화유산은 고통의 흔적 위에 피어난 자부심이자, 오늘날 한국과 중앙아시아를 이어주는 따뜻한 다리가 되고 있습니다.


 

카자흐스탄 속 소수민족 타운 탐방기 (러시아계, 우즈벡계, 고려인)

러시아계, 우즈벡계, 고려인 – 하나의 나라, 세 가지 색깔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최대의 영토를 가진 나라일 뿐 아니라, 소련 시절부터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아온 다문화 국가입니다. 그 안

sparkwater.tistory.com

 

카자흐스탄의 석유·가스 산업과 국가 수입 구조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넓은 국토를 가진 나라입니다. 그러나 진짜 그 국토의 ‘가치’는 지하에 숨어 있습니다. 바로 석유와 천연가스입니다. 이 나라는 구소련 해체 이후 자원 개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