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표현주의와 인상주의 – 감성과 시선으로 그린 예술

by cococooo 2025. 3. 30.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두 예술 사조,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미술 시간이나 전시회를 관람할 때 한 번쯤 들어본 ‘인상주의’(Impressionism) 와 ‘표현주의’(Expressionism). 둘 다 감성과 개인의 시선을 중시하는 미술 사조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출발점도, 목표도 전혀 다른 흐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예술 사조의 차이와 공통점을 쉽고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1. 인상주의란 무엇인가?


“순간의 빛과 색을 잡아낸 화가들”
• 탄생 시기: 19세기 후반 프랑스
• 핵심 특징: 자연 속 빛과 색채, 순간의 시각적 인상을 포착
• 대표 작가: 클로드 모네, 르누아르, 드가, 피사로

인상주의는 카메라의 등장 이후, 회화가 사실 재현보다 감성적 장면 포착에 집중하게 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은 실내 화실을 벗어나 야외에서 자연광을 관찰하고, 순간적인 인상을 빠르게 묘사했습니다.
붓질은 빠르고 자유로우며, 윤곽선이 뚜렷하지 않고 색의 조화를 통해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예시 작품: 클로드 모네의 《인상, 해돋이》



 

 

2. 표현주의란 무엇인가?


“마음속 감정과 불안을 그려낸 화가들”
• 탄생 시기: 20세기 초 독일 중심으로 발전
• 핵심 특징: 외부 세계가 아닌 내면의 감정, 불안, 고통을 강조
• 대표 작가: 에드바르 뭉크, 바실리 칸딘스키, 에곤 실레, 키르히너

표현주의는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혼란스러운 사회를 반영하며 등장했습니다. 인류의 불안, 개인의 고통, 인간 내면의 갈등을 과장된 색과 형태, 왜곡된 인물 표현을 통해 극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현실보다는 감정이 우선이며, 보는 사람에게 심리적인 충격이나 공감을 유도합니다.

예시 작품: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


3. 인상주의 vs 표현주의 – 무엇이 다를까?


‘밖을 본 사람들’과 ‘안을 본 사람들’

 

4. 공통점은 없을까?


기존 미술에 반기를 든 ‘개성의 시대’

• 개인의 시각과 감성 중시: 두 사조 모두 객관적인 사실보다 개인의 인상이나 감정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 아카데믹한 전통 거부: 이전의 고전주의, 사실주의와 같은 엄격한 규범을 벗어나 자유로운 표현의 길을 열었습니다.
• 현대 미술의 초석: 인상주의는 현대 회화의 문을 열었고, 표현주의는 심리적 표현을 확장시키며 추상 미술과 초현실주의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인상주의와 표현주의는 서로 다른 출발점에서 태어났지만, 공통적으로 예술의 중심을 ‘개인’으로 옮긴 혁명적 흐름입니다.

• 인상주의가 시선과 순간을 그림에 담았다면,
• 표현주의는 심장과 고통을 화폭에 펼쳐 보였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감성적으로 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 것도 이 두 사조 덕분입니다. 다음 미술관 방문에서는, ‘이 작품은 내면을 그린 걸까, 외부를 비춘 걸까?’를 생각해보며 감상해보세요.


 

‘절규’의 배경은 어디인가? – 오슬로 피요르드 언덕의 의미

에드바르 뭉크의 대표작 〈절규(The Scream)〉는 현대 미술사에서 가장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일그러진 얼굴, 뒤틀린 하늘, 파도처럼 휘어진 풍경은 인간 내면의 불안과 공포를 극적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