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를 넘어 울려 퍼지는 한 사람의 내면, 뭉크의 ‘절규’를 읽다
미술사에서 가장 강렬한 이미지 중 하나인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의 『절규』(The Scream).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입을 벌린 채 울부짖는 듯한 인물. 그 주위를 뒤흔드는 붉은 하늘과 소용돌이치는 배경.
이 한 장면은 단순한 공포가 아닌,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불안과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오늘은 이 그림을 통해, 뭉크가 우리에게 말하고 싶었던 감정의 세계를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1. 『절규』의 탄생 배경
뭉크의 삶과 불안에서 비롯된 작품
『절규』는 1893년 노르웨이 출신 화가 뭉크가 발표한 대표작으로, 그는 생애 내내 가족의 죽음, 질병, 정신적 불안과 싸우며 예술로 감정을 표출했습니다. 그는 『절규』에 대해 자신의 일기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습니다:
“나는 두 친구와 길을 걷고 있었고, 해가 지고 있었다. 갑자기 하늘이 핏빛으로 변했다. 나는 멈춰 섰고, 극도의 피로를 느꼈다… 자연을 관통하는 거대한 ‘절규’가 들리는 듯했다.”
이 짧은 문장은 그림 속 분위기와 인물의 감정을 그대로 압축한 진술로, 이 작품은 작가의 내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심리의 풍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왜곡된 형상과 색채 – 불안의 시각화
형체가 아닌 감정을 그린 표현주의적 기법
• 주인공의 얼굴은 해골처럼 일그러져 있고, 성별조차 알 수 없습니다. 이는 개인이 아닌 보편적인 인간 존재의 불안을 상징합니다.
• 주변의 배경은 비현실적으로 요동칩니다. 붉은 하늘, 물결치는 강, 구불구불한 선들은 불안정한 감정의 흐름을 시각화합니다.
• 색채는 강렬합니다. 특히 핏빛 하늘과 검은 인물의 대비는 내면의 공포와 절망을 극적으로 드러냅니다.
뭉크는 이 작품을 통해 사실이 아닌 감정을 그리는, 즉 표현주의의 선구자적 기법을 선보인 것입니다.
3. 작품 속 상징과 구성
작은 디테일 속에 담긴 거대한 메시지
• 손으로 귀를 막은 듯한 제스처: 주변에서 들려오는 ‘절규’를 피하려는 모습일 수도 있고, 그 절규가 자신의 내면에서 들려온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 뒤에 있는 두 인물: 무심하게 지나치는 두 사람과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는 주인공의 대비는 사회와 개인 사이의 단절을 상징합니다.
• 다리와 강의 구도: 안정적인 수평선 대신 휘어진 선들이 감정의 파동을 나타냅니다. 시선은 인물에게 집중되면서도, 주변의 소용돌이에 의해 휘말립니다.
이처럼 『절규』는 구도, 색, 형태 모두가 불안을 위한 연출로 치밀하게 설계된 작품입니다.
4. 미술사에서의 의의
표현주의의 기점, 현대인의 감정을 대변한 아이콘
『절규』는 단순한 그림이 아닙니다.
• 표현주의 미술의 상징으로 평가되며, 감정의 표현을 미술의 주제로 끌어올린 작품입니다.
• 현대 사회의 불안, 소외, 존재의 위기를 상징하는 보편적 이미지로 자리잡았고, 대중문화에서도 끊임없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 무의식과 감정, 트라우마를 그린 점에서 심리학과 철학에서도 주목받는 작품입니다.

마무리 – 『절규』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
뭉크의 『절규』는 단순한 공포의 표현이 아니라, 현대인이 겪는 불안과 외로움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 고백입니다.
그 얼굴에 이름도, 성별도 없는 이유는 바로 그가 ‘우리 모두’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기 전의 한 작가가 그린 이 절규는, 지금도 여전히 우리 마음속 어딘가에서 들려오고 있습니다.
뭉크란 누구인가? – 노르웨이의 상징이 된 표현주의 화가
한 인물의 얼굴이 일그러진 채 절규하는 모습. 불타는 듯한 하늘 아래, 고통과 불안에 뒤덮인 풍경. 이 장면은 아마 누구에게나 익숙할 것입니다. 바로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의 대표작 입니다
sparkwater.tistory.com
‘절규’의 배경은 어디인가? – 오슬로 피요르드 언덕의 의미
에드바르 뭉크의 대표작 〈절규(The Scream)〉는 현대 미술사에서 가장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일그러진 얼굴, 뒤틀린 하늘, 파도처럼 휘어진 풍경은 인간 내면의 불안과 공포를 극적
sparkwater.tistory.com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펭귄은 왜 날지 못하게 되었을까 (0) | 2025.04.06 |
---|---|
표현주의란 무엇인가? (0) | 2025.03.31 |
표현주의와 인상주의 – 감성과 시선으로 그린 예술 (0) | 2025.03.30 |
‘절규’의 배경은 어디인가? – 오슬로 피요르드 언덕의 의미 (0) | 2025.03.30 |
오로라란 무엇인가? – 하늘을 수놓는 자연의 빛 (0) | 2025.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