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몽유병이란 무엇인가? – 증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by cococooo 2025. 4. 9.

밤중에 누군가 눈을 뜨고 방을 돌아다니거나, 냉장고를 열어 음식을 꺼내 먹고 다시 자리에 돌아와 자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이처럼 잠을 자는 도중에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증상을 몽유병(수면보행증, Sleepwalking)이라고 부릅니다. 흔히 ‘잠꼬대의 심한 버전’ 정도로 여겨질 수 있지만, 몽유병은 뇌의 특정 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는 의학적 수면장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몽유병의 정의부터 증상, 주요 원인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몽유병이란?


비정상적인 수면 중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장애




몽유병은 논렘(NREM) 수면 단계, 특히 깊은 수면(3단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때 뇌는 ‘깨어 있는 부분’과 ‘자고 있는 부분’이 동시에 공존합니다. 몽유병을 앓는 사람은 대개 눈을 뜬 상태로 움직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의식이 없는 상태입니다.

몽유병은 전체 인구의 약 1~3%에서 발생하며, 어린이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고, 대부분은 성장과 함께 사라지지만, 성인기까지 지속되거나 다시 발현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증상들


몽유병은 단순히 ‘걷는 것’만이 아닙니다. 다양한 형태의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무표정한 얼굴로 걷기
• 방 안을 돌아다니거나 가구에 오르기
•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기
• 냉장고에서 음식 꺼내 먹기
• 자신 또는 타인을 해치는 행위 (드물지만 있음)
• 기억 상실: 아침에 전혀 기억하지 못함
• 말을 하거나 잠꼬대와 함께 행동

이러한 행동은 보통 몇 초에서 몇 분 정도 지속되며, 드물게 30분 이상 계속되기도 합니다.


주요 원인


몽유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며, 유전적·생리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1.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몽유병 경험자가 있을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부모 중 한 명이 몽유병이었을 경우 자녀에게서 발생할 확률이 약 45%, 양쪽 모두일 경우 60%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수면 부족 또는 불규칙한 수면 패턴


피로가 누적되거나 수면 사이클이 깨질 경우, 깊은 수면 단계가 길어지면서 몽유병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3. 스트레스 및 정신적 긴장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PTSD) 등은 수면 중 뇌의 안정성을 방해하여 몽유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기저 질환 또는 약물


열성 질환, 수면 무호흡증, 간질(특히 야간 간질), 일부 진정제나 수면제의 부작용도 몽유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어린이와 성인에서의 차이


어린이의 몽유병은 대부분 일시적이며 생리적인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반면, 성인의 몽유병은 스트레스, 수면 질환, 약물 등 보다 복잡한 원인이 얽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몽유병, 가볍게 넘기지 마세요


몽유병은 일시적이고 무해하게 보일 수 있지만, 반복되거나 사고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수면장애와 동반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