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쿠미스(Kumis) – 발효 말젖 음료, 초원의 생명수

by cococooo 2025. 4. 15.

중앙아시아의 끝없이 펼쳐진 초원에서, 유목민들은 땀 흘린 하루를 마치고 한 모금의 음료로 피로를 풀었습니다.
그들이 마시던 음료는 바로 ‘쿠미스(Kumis)’, 발효된 말젖입니다. 생소하고 낯설게 들릴 수도 있지만, 쿠미스는 수천 년 전부터 내려온 유목민의 지혜가 담긴 발효유이며, 지금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등지에서 중요한 전통 음료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1. 쿠미스란 무엇인가?


말젖을 발효시켜 만든, 약한 탄산과 알코올을 함유한 유제품 음료

• 원재료: 말젖 (젖소나 염소젖보다 당분 함량이 높아 발효에 적합)
• 발효 방식: 자연 발효 또는 스타터 균 사용
• 맛 특징: 톡 쏘는 신맛 + 약한 탄산 + 약간의 단맛
• 알코올 도수: 0.7~2.5% (비알코올 버전도 존재)

쿠미스는 얼핏 보면 요거트처럼 보이지만, 가볍게 발효된 탄산음료처럼 상쾌한 느낌도 줍니다. 유목민의 여름철 대표 음료이자 의례용 음료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2. 쿠미스의 역사 – 유목 제국의 생존식


쿠미스는 기원전 수천 년 전부터 유목민 사회에서 음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칭기즈 칸의 군대가 쿠미스를 병참 음료로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 몽골: ‘아이락(Airag)’으로 불리며 지금도 흔히 마심
•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여름이면 가정집마다 쿠미스를 만들며, 시장이나 길거리에서도 판매
• 러시아 제국 시절: 고급 건강 음료로 유럽 귀족들 사이에 알려지기도

오늘날까지도 쿠미스는 유목민 문화의 핵심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3. 어떻게 만들까? (전통 방식)


기본 재료
• 신선한 말젖
• 발효 스타터(기존 쿠미스, 혹은 요구르트 균)

전통 제조법
1. 말젖을 깨끗하게 걸러 큰 가죽 주머니(또는 나무 통)에 붓는다.
2. 미리 발효된 쿠미스를 소량 넣고 잘 저어준다.
3. 하루 12번 이상 저어가며 상온에서 12일간 발효시킨다.
4. 완성된 쿠미스를 차갑게 해서 마신다.

현대에는 스테인리스 발효통과 스타터 유산균으로 더 위생적으로 제조되기도 합니다.


4. 쿠미스의 효능 – 유목민의 천연 보약


단백질, 유산균, 효소, 비타민이 살아 있는 발효 음료

• 소화 촉진: 위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장 건강 개선
• 면역력 향상: 천연 유산균이 면역 체계 강화
• 피로 회복: 말젖의 당분과 단백질이 빠른 에너지 공급
• 스트레스 완화: 미량의 알코올과 젖산이 안정 효과
• 고지방 식단에 최적화: 육식 위주인 유목민 식단과 균형



 

5. 쿠미스의 문화적 의미


카자흐인에게 쿠미스는 ‘초원의 술’, ‘환대의 시작’

• 환영의 의미: 손님이 방문하면 쿠미스를 먼저 내어 대접
• 여름 문화: 가정마다 쿠미스를 만들어 시장에서 판매하거나 나눔
• 전통 행사: 결혼식, 제사, 민속 축제에서 중요한 의례 음료
• 사회적 기능: 쿠미스를 통해 마을 사람들 간 유대 강화

→ 쿠미스는 단순한 음식이 아닌 ‘문화적 소통의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처음엔 낯설고 생소할 수 있는 쿠미스. 하지만 한 모금 마셔보면, 시원하면서도 묘하게 깊은 맛,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수천 년의 유목 정신이 입 안 가득 느껴질지도 모릅니다. 말젖이라는 재료에 놀라지 말고, 초원의 민족이 남긴 유산을 한 번쯤 직접 경험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