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대구와 명태, 무엇이 다를까?

by cococooo 2025. 4. 6.

겨울철이 되면 뜨끈한 생선국물이 생각납니다. 그중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이름, 대구와 명태. 둘 다 국, 찜, 탕으로 활용되며, 생김새도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생선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구와 명태의 차이점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생물학적 분류부터 요리 활용까지 꼼꼼히 정리해봅니다.

1. 생물학적 분류와 서식지


대구 (Cod)
• 학명: Gadus macrocephalus
• 분류: 대구목 대구과
• 서식지: 북태평양 수심 깊고 찬 바다
• 크기: 최대 1m 이상까지 자람

명태 (Pollock or Alaska Pollock)
• 학명: Theragra chalcogramma
• 분류: 대구목 명태과
• 서식지: 동해 북부, 러시아 캄차카, 알래스카 주변
• 크기: 30~60cm 내외

요약: 둘 다 대구목이지만 다른 과(科)에 속하는 별개의 어종입니다.



 

2. 외형과 특징

 


포인트: 대구는 입 주변에 ‘수염’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3. 맛과 식감


• 대구는 살이 부드럽고 수분이 많아 촉촉한 식감
• 명태는 살이 단단하고 결이 곱고 탄력 있음

명태는 건조·숙성 과정을 통해 더 다양한 식감을 만들어내는 반면, 대구는 자연 그대로의 부드러운 맛을 살리는 데 초점을 둡니다.

4. 요리법과 활용


대구
• 대구탕, 대구전, 대구찜
• 알, 곤이(이리), 간까지 별미로 활용
• ‘대구 간’은 간유 성분이 풍부해 영양식으로도 인기

명태
• 말리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이름:
• 생태: 생물 상태
• 동태: 얼린 명태
• 북어: 말린 명태
• 황태: 자연건조+해동 반복
• 코다리: 반건조 상태
• 북엇국, 황태구이, 동태찌개, 코다리조림 등 다양하게 활용

요약: 명태는 보존·가공에 특화된 생선, 대구는 신선하게 즐기기 좋은 생선



 

5. 가격과 유통


• 명태는 국내에서 거의 자연산이 사라지고 대부분 수입산(러시아, 알래스카 등)
• 대구는 일부 국산도 유통되며, 겨울 제철 생선으로 비교적 고급
• 대구의 알·곤이는 별도 판매될 만큼 인기

 

마무리하며


대구와 명태는 닮은 듯 다르고, 쓰임도 각각 다릅니다.

• 대구: 제철 생선을 그대로 즐기며, 부드럽고 담백한 맛
• 명태: 가공에 강하고, 다양한 형태로 오랜 시간 사랑받는 생선

각각의 특성을 알면 요리에 더 알맞게 활용할 수 있겠죠?
다음 장볼 때, 두 생선을 헷갈리지 말고 정확히 고르세요!


 

노르웨이에서 나는 생선 종류 8가지- 북극 바다가 길러낸 청정 해산물의 보고

노르웨이는 세계 2위의 수산물 수출국이자, 청정한 북대서양과 북극해의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한 수산 강국입니다. 혹독한 기후와 차가운 바닷물, 긴 해안선이 어우러져 맛 좋고 영양가 풍부한

sparkwater.tistory.com

 

Klipfish란? – 북유럽 바닷바람이 말린 전통 생선

Klipfish(클리프피시)는 노르웨이를 비롯한 북유럽 지역에서 오랜 전통을 지닌 건조 대구(salted and dried cod)를 뜻하는 말입니다. 직역하면 ‘바위에서 말린 생선’이라는 의미이며, 실제로 바닷바람

sparkwa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